국민 최대 걱정거리 ‘일자리’… ‘공해 없는 한국’ 희망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걱정하는 불안요인은 ‘일자리’이며, 앞으로 바라는 우리나라의 모습은 미세먼지 등 공해 걱정 없는 ‘환경’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부는 2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해 전국 20세 이상 국민 1000명과 관계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사회보장 대국민 인식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참여자들은 걱정거리(불안요인) 1순위로 일자리(35.9%)를 꼽았다. 이어 신체와 정신건강(17.1%), 노후생활(15.0%), 자녀교육(14.2%), 출산과 양육(7.1%), 주거(3.2%), 환경(3.0%), 부채상환(2.9%), 안전(0.9%), 부모부양(0.8%) 등 순으로 선택했다.
5년 후 걱정거리로는 노후생활이 22.3%로 가장 높았고 신체와 정신건강(21.0%), 일자리(20.1%) 등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한국의 바람직한 모습으로는 공해(미세먼지 등) 걱정 없는 환경, 범죄·학대·사고 없는 안전사회, 병원비 걱정 없는 사회,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사회 등 순으로 선택됐다.
노후 준비는 절반(50.9%) 정도만 하고 있으며, 준비 방법으로는 국민연금(60.7%), 예금·적금·저축성보험(20.0%), 부동산(8.3%) 등 순으로 조사됐다.
노후를 준비하고 있지 않은 사람 중 30~50대는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라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준비할 능력이 없다’는 응답은 40대부터 비중이 높아져 60대 이상에서는 71.3%로 높게 나왔다.
노후지원정책으로는 은퇴 후 취·창업 지원이 27.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소득지원(21.3%), 돌봄 강화(16.6%), 여가활동 지원(11.7%), 장기요양서비스 확대(8.9%) 등 순으로 선택됐다.
사회보장정책을 지금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것과 관련해선 79.7%가 찬성 입장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를 위해 세금(보험료)을 더 부담하는 것에는 32%만 찬성했고 나머지 68%는 반대 입장을 보였다.
정부가 사회보장정책을 확대할 때 중점으로 둬야 할 생애주기별 대상으로는 노인(33.5%), 청년(21.0%), 중장년(19.3%) 순으로 조사됐다.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6.6점 수준이었다. 연령대별 만족도는 20대가 6.88점, 30대 6.73점, 40대 6.6점, 50대 6.71점, 60대 이상 6.19점 등으로 집계됐다.
삶의 영역별 만족도는 건강이 7.07점으로 가장 높았고 주거생활 6.81점, 안전 6.75점, 직업 6.60점, 생활수준 6.32점 등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보장 수준에 대해선 5년 전보다 높아진 것으로 인식했고, 5년 후에는 더 나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574568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미, 1사1하천 사랑운동 (0) | 2018.12.01 |
---|---|
장수 백화여고 학생회, 독거노인 등에 연탄 1천장 전달 (0) | 2018.11.29 |
폴스부띠끄 최대 79% 할인 外 금강제화·라코스테·올리브영 (0) | 2018.11.17 |
신발 끈 매던 초등생, 차에 치여 숨져… 네티즌 “아파트 단지에서 사망사고라니 이해 안가” (0) | 2018.11.10 |
판화에 새겨진 ‘신과 함께’… 동아시아인들이 생각하는 극락과 지옥은? (0) | 2018.10.19 |